출석(4)
변형근, 홍기민, 소준영, 양준명
45분쯤 도착하니 홍사범님이 유근법을 깊게 하시고 계시는 모습입니다. 저도 얼른 환복 후 유근법으로 수련을 준비하였습니다.
잠시 후 준명이형이 도착하고 변사범님이 10분쯤 도착하여 환복 후바로 수련을 시작 하였습니다,
두번지르기, 세번지르기를 하는데 저번 수련의 몸통을 던지듯이 허리를 쓰는 느낌과 어깨서부터 팔꿈치가 하나의 막대기가 되는 느낌을 더불어 살려볼려고 노력하였습니다. 평소의 지르기보다 훨씬 숨이 차는게 자세가 참 많이 어색하고 몸통을 던지듯이 라는 느낌처럼 잡아줘야 하는 힘이 더 많이 들어 얼굴이 붉게 상기되며 지르기를 하였습니다.
사범님들의 가볍고 경쾌하게 지르기를 하는 모습이 참 많은 차이가 느껴졌습니다.
저번 수련 후에 홍사범님과 이야기 했던 주춤서기의 중요성이 지르기에서 여지없이 드러나는 느낌입니다.
금일 수련에서는 몸통을 쓰는 느낌을 살려보려고 하다보니 아무래도 팔이 몸에 최대한 뿌리기 전까지 붙어있는 것이 스스로 동작에 힘이 실리는 느낌인지라 마치 무기를 내가 들고 있는 느낌과도 어느정도 일맥상통하는 바같이 여겨졌습니다.
그러다 보니 무기술의 느낌과 비슷한 느낌으로 하였고, 그러다 보니 괘적 또한 매우 중요하게 생각되었습니다.
수련은 기본동작, 응용동작 순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시작이 좀 늦다 보니 지도 없이 구령에 맞춰서 빠르게 쭉 진행되었습니다. 뒷차기 까지 끝난 후 잠시 휴식을 갖는 동안 변사범님이 뿌린 손은 거둘 수 없다라는 말이 떠올랐다고 하였습니다.
이러한 동작이 검술에서 아래막기 후 검을 수직으로 내리는 동작이 자연스럽고 간결하게 해줄 수 있는 동작이라고 생각하신 것 같습니다. 물론 제가 아직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이 많아서 잘 못 알아 들으 수 있을 부분이긴 하지만, 저는 내려치는 힘을 잡아 주는 힘을 위해서는 두 동작이어 멈출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하였지만, 홍사범님이 또한 출수에서는 회수를 생각하지 않아야 한다라는 말을 곁들이셔서 동감하는 바였습니다.
품새는 기본품새 2회 연속품새 2회를 하였습니다.
다들 낮고 속도는 평소보다 좀 빠른 속도로 하였던 듯 싶습니다.
각자 무기술 봉술과 검술을 1회씩 하고 주춤서기 15분으로 수련을 마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