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석(5)
우정, 홍기민, 이주환, 이승용, 천종민
금일 수련은 변형근사범이 회사일로 참가하지 못해 원장님께서 지도해 주셨습니다.
도장에 도착했을 때, 이미 원장님께서 유근법으로 몸을 풀고 계셨습니다. 오랜만에 도복을 갈아있고 쟁기자세로 몸을 풀었습니다. 쟁기자세를 마칠 때쯤 이주환사범이 도착했습니다.
유근법은 평소보다 느린 속도로 정확하게 수련했습니다. 유연성에 바탕을 둔 동작들은 실제 품새수련때 제대로 호흡과 연결되지 못한다는 점을 계속 인지시켜주셨습니다.
기본동작 역시 상세한 설명을 곁들여 주셨습니다. 바른주춤서기와 아랫배로 호흡하기등...몸과 맘이 많이 굳어 있음을 숨길 수가 없었습니다.
몸통지르기 동작에서 손목이 아래쪽으로 꺾여야 하는데 뒤로 젖혀지는 습관을 계속 지적받았습니다. 몸통지르기 동작이 중요한 이유는 가장 기본적인 동작이기 때문이라며, 기본동작의 중요성을 강조하셨습니다.
앞굽이와 뒤굽이 역시 낮고 정확하게 취할 수 있어야 하는데, 금방 숨이이차고 힘들어 자세가 높아졌습니다. 이주환사범이 앞굽이 아래막기 얼굴막기 거들어막기 동작을 힘차게 진행하는데 반해, 저는 동작의 연결이 서서가듯하고 맥이 없어보였습니다. 끊임없이 수련해야함을 새삼 느낍니다. 수련시간과 몰입정도에 비례해서 수련의 깊이가 더해짐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발차기는 몸을 꼬아서 앞으로 나가면서 뻗어야 하는데, 허리를 비틀지 못하거나 뻗뻗한 다리모양과 높은자세로 엉성한 모양이 걷는 것보다 못하다는 지적을 받았습니다. 중심이 되는 다리가 고정되어야 하는데 균형을 잡지 못하고 비틀거렸습니다. 호흡과 함께 낮고 빠르게 활개를 전개할 수 있어야 하는데 쉽지 않았습니다.
응용동작은 기본동작의 연결 즉 이디엄에 해당한다며 강조하셨습니다.
앞차고 지르기를 할 때 팔을 던지듯이 뻗어야 하는데 엉거주춤하는 모양새가 되었습니다. 몸통모지르기는 뒤굽이가 중요한데 한발에 힘이 실리지 않아 가벼워 보였습니다.
응용동작이 끝날때쯤, 홍기민사범과 이승용사범이 도장에 도착했습니다.
품새수련은 연법1식 만련과 평련 쾌련을 수련하면서 자세를 하나하나 교정해주셨습니다. 연법2식부터 5식까지는 평련과 쾌련을 수련했습니다.
연속수련때는 호흡이 힘들어 자세가 자꾸 높아져 부끄러웠습니다. 홍기민사범, 이승용사범, 이주환사범의 동작은 경쾌하고 힘이 넘쳐보였습니다. 본인과의 수련간극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주춤서기까지 모든 수련을 마친 다음, 도장에서 가볍게 맥주로 입가심을 했습니다.
이주환사범은 (조카가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관계로) 가족모임이 있어 먼저 자리를 떠나고, 원장님과 홍기민사범, 이승용 사범, 그리고 본인은 원장님의 배려로 순대국밥과 소주를 곁들이며, "사람이 고향이고 인생은 늘 고비가 있다"는 위로와 격려를 해주셨습니다.
시간이 흐를수록 연무재의 한결같음이 삶의 기본자세라는 것을 배우게 됩니다. 몸수련과 더불어 마음수련까지 병행하고 있는 연무재 동도들에게 존경을 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