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석(5)
우정, 변형근, 홍기민, 이주환, 천종민
요며칠 날씨가 급변해서 밤과 낮의 기온차가 심합니다. 금일도 찬바람이 불어서 계절의 변화를 제대로 느낄 수 있었습니다.
지난 주 수련이후로 개인운동을 전혀 하지 않고 자격증시험준비와 시험후 몇차례 과한 음주까지 더해져 몸에 무리가 느껴졌습니다. 그래서 금일은 평소보다 이른 저녁 6시 30분쯤 도장에 도착했습니다.
과음후 구토에 따른 가슴통증으로 호흡이 거칠고 평소보다 간격이 더 짧아졌습니다. 유근법으로 풀어보려고 애를 써보지만 자꾸 정신과 몸이 허틀어집니다. 몸과 마음이 맑고 평온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꾸준히 노력하지 않으면 안됩니다.
쟁기자세를 할 때 등을 지나 경추까지 곧추 세울 있어야 하는데 등에서 몸이 굽어집니다. 역시 움추린 자세와 장시간 책상에 앉아 머리를 숙이고 있는 자세가 문제가 된 듯합니다. 현재의 짧은 호흡도 관련이 있어 보입니다.
몸과 마음의 균형을 유지한다는 것에 대해 생각해 봅니다. 가위나 젓가락도 적정 교차점에서 효율적인 힘을 발휘합니다. 우리 몸과 마음도 적정 교차점이 있다고 봅니다. 앉아만 있거나 누워만 있거나 서있기만 한다고 몸이 편한 것이 아니듯, 적절하게 앉고 일어서고 걷고 눕는 행위들이 조화롭게 진행될 때 건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원장님께서 늘 말씀하시는 것처럼..기본은 알기도 어려우며 안다고 해도 그것을 실천하는 것은 더욱 어렵습니다.
연무재 수련의 정수를 세심하게 전달하고 계심에도 불구하고 수련시간에 타협하게 되는 것이 사람의 마음입니다. 쉽지 않지만 끊임없이 부딪히고 그것을 넘어서기 위해 노력하는 자세가 더욱 중요합니다.
최근, 변사범과 이사범이 이른 아침에 함께 모여 수련을 한다고 들었습니다. 날씨가 추운데도 수련의지를 지켜나가는 모습에서 연무재의 가능성과 게으름에 대한 반성 그리고 개인적인 각오들을 되새기게 됩니다.
본 수련전에 이사범도 평소처럼 도장에 도착해서 유근법으로 몸을 풀었습니다. 꾸준한 수련과 현재 최연소 수련자여서인지 항상 낮은 자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허리를 틀어 채찍을 던지듯 몸통을 던지는 폭발적인 몸짓이 더해진다면 지금보다 훨씬 강력한 몸짓이 될 것같습니다.
금일 수련은 원장님, 변사범, 홍사범, 이사범 그리고 본인까지 제시간에 모두 수련을 시작하였습니다.
주춤서몸통지르기에서 평소보다 자세가 높고 호흡도 짧고 부자연스러움이 더한 모양새가 원장님께 그대로 들켜버렸습니다. 연무재가 바로 이런 운동입니다. 한 주간의 자신의 삶을 몸짓을 통해 반성하고 깨닫게 되며 다시 각오를 다지게 되는 수련입니다.
변사범과 홍사범은 최근 부진함을 만회하고 다시 예전의 기량을 회복하고 있는 중입니다. 다만 세월이 흐름에 따라 자연스런 퇴행을 극복할 수 있는 좀 더 강력한 수련이 필요한데 일상생활과 병행해서 쉽지 않으리라 생각됩니다 .그런 와중에도 각자 새벽수련과 이미지수련을 하고 있는 것도 대단하다고 생각합니다.
축을 바로 세우고 호흡으로 자세를 낮추는 기본에 충실할 것을 거듭 당부하시는 원장님의 조언에도 불구하고 수련 후반부로 갈 수록 자세는 높아지고 축은 무너지기 일쑤입니다.
여러가지 사정이 있음에도 각자의 위치에서 나름 노력하고 있는 동도들을 통해 희망과 아쉬움이 교차하는 시기입니다.
변사범은 수련을 마치고 회사일로 바로 돌아갔으며 원장님께서도 맥주 한잔을 비우시고 먼저 자리를 일어섰습니다. 본인도 몸이 무거워 홍사범과 이사범을 남겨두고 일찍 귀가했습니다.
연초에 했던 결심이 많이 무뎌져 있는 요즘입니다. 톱날을 다시 갈아야 할 때이기도 합니다. 삶은 어차피 불균형속에서 균형을 찾고 균형속에서 불균형이 생기는 반복되는 리듬의 연속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현재를 인정하고 받아들이며 개선하는 노력을 즐기는 것이 최선이 아닐까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