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석(4)
변형근, 홍기민, 양준명, 소준영
오늘은 제가 출발이 늦어 가까스로 8시 직전에 도장에 도착했습니다. 도착해보니, 변사범님을 포함해 다들 유근법을 하고 계셨습니다. 저는 급하게 허리와 어깨 위주로 몸을 풀었습니다. 최근 허리를 가동범위랄까요, 허리 운용이 예전보다 나아지면서 고관절 부위의 유연성이 좀 더 나아진듯한 느낌입니다. 예전에는 유연성은 근육의 부드러움이라고 생각했는데 지금에 와서는 뼈와 근육을 잇느 건과 인대가 더 비중이 높겠다라는 생각이 듭니다. 운동을 마치고나면 허리 및 고관절의 시큼함이 기분좋게 다가옵니다.
주춤서몸통지르기를 합니다. 두 발은 땅에 고정하되, 허리는 유연하게 풀고 어깨에 불필요한 힘을 주지않은채 팔꿈치를 아래로 떨어뜨린 상태를 유지하며, 두 정권이 앞뒤를 오간다는 느낌으로 질렀습니다. 물론 순간적으로 최대한 멀리 갖다 놓는다는 느낌으로 동작을 크게해봤습니다.
기본동작을 할 때는 발차기보다 허리를 중심으로 사지를 모으고 푸는 동작에 중점을 뒀습니다. 특히 불필요한 예비동작을 만들지 않고 겉으로 보이는 정지 모습에서 바로 앞으로 나가는 신속성에 신경 썼습니다.
응용동작은 발차기를 곁들이지만, 발차기 과욕에 몸 전체가 위로 뜨거나 상체가 뒤로 눕히지 않도록 노력했습니다. 그런데, 초반에 결국 상체가 뒤로 누웠다는 지적을 받았습니다. 다음부터는 발차기를 가볍게 차서 몸 전체의 균형이 무너지지 않도록 해야겠습니다.
발차기 연습은 역시 팔꿈치 운용이 가장 어렵습니다. 팔꿈치(그 이전에 허리)가 먼저 가서 몸을 곧추 세우도록 하고 발이 나가야하는데, 여전히 발이 먼저 나가서 허리가 세워지지 않아 구부정하는 모습을 보일 때가 많습니다. 좀 더 차분히 몸을 꼬아 - 특히, 옆차기와 뒷차기 - 몸을 세우도록 해야겠습니다.
품새는 연속품새를 할 때, 변사범님한테 완급에 대한 지도를 받았습니다. 매 순간마다 빠르게 하려다보면 오히려 느려질 수 있다고 평을 하신 것이 인상에 남습니다. 오히려 동작의 절정에 가기 전에 하는 듯 마는 듯하게 슬그머니 동작을 하다 힘을 내는 동작에서 빠른 것이 더 효율적인 움직임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품새는 사방으로 신체를 펼친다는 느낌으로 연습했습니다.
마지막으로 무기술은 봉을 기본으로 각자 원하는 추가 무기(쌍차 또는 쌍검)로 2번을 하고, 주춤서기 15분으로 수련을 마무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