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석(3)
홍기민, 소준영, 김세진
세진이는 아침 일찍 와서 먼저 수련을 했습니다.
도착하니 이미 땀을 한마가지 흘리고 있었습니다. 기본수련과 응용동작, 발차기 수련을 같이하기 위해 품새와 무기술을 먼저 수련했다고 했습니다.
저는 가볍게 고관절 위주로 몸을 풀고 있으니 준영이가 도착했습니다.
다 같이 몸을 풀고 난 뒤 시간이 되어 수련을 시작했습니다.
저는 예전에 비해 몸상태가 많이 회복되었습니다. 그래도 아직 조심을 해야 해서 수련 강도를 많이 올리지는 못했습니다.
주춤서 몸통지르기부터 시작하였습니다. 경쾌하고 기분좋게 몸통지르기가 되었습니다.
기본동작은 앞굽이로 아래막기, 얼굴막기, 거들어막기를 하였습니다.
얼굴막기 할 때 일지로 서서 삼지가 움직이는 모습을 준영이에게 천천히 보여주었습니다.
특히 서있는 엉덩이가 볼베어링처럼 작동하는 것을 보여주려 하였습니다.
세진이가 활개에 대해서 부연설명을 해주었습니다.
뒷굽이 동작은 양손날막기와 외손날막기를 하였습니다.
따지고 보면 뒷굽이와 앞굽이도 결국 일지로 낮게 서는 면에서는 같은 동작입니다.
원리는 같으나 이완되고 접히는 곳에 차이가 생깁니다. 공통의 원리를 먼저 잘이해한 뒤 차이점을 또 잘 알아야 더 이해가 깊어지고 활용하기도 좋을 것입니다.
응용동작시 세진이가 준영이에 안좋은 습관 하나를 짚어주었습니다.
동작의 마무리에서 맺음이 없이 흘렁이듯 전사의 조임이 없이 마무리 되는 부분에 대한 것이었습니다.
동작을 힘을 빼고 하는 것은 좋지만 구조적인 형태는 깔끔하게 만들어줘야 합니다.
동작의 힘은 정교한 동작의 구조에서 나옵니다.
그 깊이를 알아가는 것이 또한 흥미롭운 과정의 하나이기도 합니다.
상하체가 풀린상태에서 동작이 마무리 되고 그게 습관화 되면 수련이 양으로만 채워지고 양질의 내용은 얻을 수가 없습니다.
오늘은 세진이가 준영이가 반드시 고쳐야 할 점을 잘 짚어준 듯 합니다.
저는 늘상 봐왔으면서도 왜 그 부분을 이야기를 콕 짚어서 이야기를 안해줬는지… 준영이에게 미안한 마음이 좀 들었습니다.
응용동작시 중심이동이 조금 나아진 기분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미약한 개선이라 앞으로 갈 길은 멀기만 합니다.
발을 잘 딛는 것이 동작의 처음과 끝이라 할 만큼 중요합니다.
발차기시 그래도 평소에 고관절 유근법은 조금이라도 해왔더니 점점 편안해 지는 것이 느껴집니다. 역시 갈 길이 멀긴 합니다.
그저 꾸준하게 한걸음 한걸음 앞으로 나아가는 것 뿐입니다.
세진이가 발차기도 툭툭 가볍게 차는 것에 대해 이야기 합니다.
저역시 그런 부분을 중요하게 생각했고 전에는 세진이에게 직접 보여주기도 했던 것 같은데 오늘은 제가 잘 안되고 세진이가 더 잘 되네요.
가볍게 차는 것도 시간이 부족하더라도 감을 계속 들여야겠습니다. 가볍게 툭 차고 회수하지만 나도 모르는 순간 발날과 앞축은 타격 지점을 5~7Cm정도는 찍혀 들어갔다 나오게 연습이 되야겠습니다.
발차기 수련을 마치고 세진이는 집으로 향했습니다.
저와 준영이는 개별품새를 만련과 평련으로, 그리고 연속품새를 수련하였습니다.
오늘은 만련시 발차기도 천천히 해봤습니다. 아직 어설프지만 연습이 많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무기술을 수런한 뒤 주춤서기 5분을 낮게 하고 집으로 향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