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석(4) 변형근, 홍기민, 이승용, 양준명, 소준영
금일은 세번지르기를 막 시작할때 제가 도착하였습니다.
환복하며, 세번지르기 동작을 뒤에서 보니 어깨 축이 고정되고 흔들리지 않는 것이 전제조건으로 느껴졌습니다. 좀 더 신체구조 상 힘이 허리에서 응집되어 질러지며 맺히는 이상적인 동작의 선수조건 같았습니다.
변사범님의 경우와 이사범님의 경우를 비교하면, 둘다 어깨는 흔들리지 않으며 맺힘동작에 잡아주었으나, 이사범님의 경우 뒤 허리에서 등으로 몸통의 비틀림이 잘 보이지 않았습니다. 나중에 이러한 몸통의 비틀림을 좀 더 신경쓰며 해봐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지르기를 마친후 기본동작부터 응용동작까지 빠르게 나갔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자세를 만들고 뒷발을 붙이려고 노력하였습니다. 아직 익숙해지지가 않아서 그런지, 시작 전 몸을 푸는 과정이 없어서 그런지 동작이 느리고 꼬임을 살려 이어가는게 부족했던 것 같습니다.
다른 분들은 낮고 동작의 빠르기도 빨랐던 듯 싶습니다. 다만, 저를 비롯하여 대부분 동작의 리듬감이 좀 부족하였지 않았나 싶습니다.
가능하면 날개를 한동작에 하려고 하는 것이 점점 더 중요하다고 느껴집니다.
응용동작을 후 발차기 까지 마칠 쯤 홍사범님이 도착하여 같이 수련 하였습니다.
기본품새 2회와 연속품새2회를 각각 하였는데, 다들 낮고 무게감 느껴지는 품새를 하였습니다. 홍사범님의 경우 몸에 힘이 풀리고 발목에 대해 의식을 좀 더시며 품새를 하니, 뒷발을 지지하여 맺는 느낌과는 또 다르게 순간 탄력의 나가는 힘들이 매우 강력하게 느껴졌습니다.
같은 힘도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서 발현되는 모습이 참 다르구나를 느꼈고, 다 할 수 있어야 한다라는 말이 참 와다왔습니다.
또, 주춤서기를 하면서 홍사범님이 숨 안에 모든 게 들어있다는 말 도 하셨는데 동작을 만들 때 초기에 무의식 적으로 숨을 참고 동작을 만들려고 하는 초심자 들의 행동들이 생각났고, 그러한 것들이 쌓이며 동작의 편안함과 숨이 편하게 쉬어질 때 동작들도 완성도가 올라가는 것과도 매칭이 잘 되었습니다.
단순히 동작을 모을 때 마시고, 맺을때 내뱉는 것 보다 자연스레 들여 쉬며 모아모아 맺을 때 손 발 숨의 합을 맺어야 하는 방향으로 수련을 정진해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무기술 봉술과 검술을 각 1회 한 후, 주춤서기 15분으로 수련을 마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