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석(4)
우정, 홍기민, 천종민, 이승용
금일 평소보다도 더 늦게 도착하여 발차기 수련부터 수련에 합류하였습니다.
몸이 덜 풀려서인지 이내 숨이 차고 이마에 땀방울이 맺혔습니다.
품새를 수련할 즈음 해서 용사범이 도착하여 함께 품새를 수련하였습니다.
종민이형의 동작이 평소보다 비교적 높았습니다.
그리고 특히 3식의 금강막고 몸통 연속지르기 시 상체의 축이 기울어 졌습니다. 축이 기울어지면 몸통에서 꼬인 탄력을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가 없습니다.
상체의 축을 바로 세우기 위해서는 우선 시선이 바르게 전진 방향을 바라 보아야 겠습니다.
본인은 평소보다는 높은 편은 아니었지만 그래도 늘 그랬던 것 처럼 비교적 자세가 높은 편이었습니다.
자세를 낮추기 위한 근력이 없는 것도 아닌데 낮추지 못하는 이치가 자못 신기하기도 합니다. 호흡을 통해 고관절이 벌어져야 하는데 스스로의 게으름을 탓하는 도리밖에는 없습니다.
용사범은 품새시 몸을 꼬아서 응축된 기운이 동작이 전개되면서 다 새어 나가는 듯 합니다.
그리하여 맺혀야 하는 부분에서 기운이 두리뭉실하게 마무리가 되어 미는 듯한 동작의 형국이 이루어지는 것 같습니다.
힘을 빼고 날카롭고 빠르게 동작을 전개하여 마무리 하는 것이 필요 한듯 합니다. 좀 더 동작과 동작 사이의 응축과 이완의 리듬에 대해서 고민 해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 합니다.
얼마전에 원장님께서 금강막고 몸통 연속지르기시 발 모양새의 변화에 대해서 좀 더 자세한 설명을 해주신 적이 있었습니다.
곰곰히 생각해 보니 지지하는 발 이외에 노는 발에서 완전히 힘을 빼고 자유로워 질 때 나오는 형국에 대한 설명이셨던 듯 합니다.
나름 해답을 얻고 집에서 약간의 연습을 해보았고. 수련시에도 그리 하려 하였으나 중심축이 아직 완전하지 못하고 불완전 하여 어느새 양발에 중심이 살짝 양분 되면서 자유롭게 힘이 빠져야 하는 발 조차도 경직 되어지는 것을 느꼈습니다. 물론 자세도 높았습니다.
좀 더 해당 부분에 신경을 써서 수련을 해볼 생각입니다. 아직 완전하지는 않아도 순간 순간 중심이 안실리는 발에서 힘을 뺄려고 노력하니 동작이 좀 더 다이내믹해지는 느낌이 듭니다.
금일은 원장님께서 운전하실 일이 있으셔서 수련이 끝나고 바로 자리를 일어나셨습니다.
본인이 미처 생각을 못하고 바로 씻고 상차릴 생각에 씻으로 올라가서 가실때 인사를 못 드렸더니 마음이 조금 송구스러웠습니다.
평소 처럼 상을 차리고 연무재랑 관련 된 이야기를 이래 저래 나누었습니다. 늘 연무재를 생각하는 종민이형의 마음이 인상깊었습니다.
2009년 한해는 연무새 수련에 있어서도 스스로에게 좀 더 개선적이고 의미가 있는 변화가 필요한 한해가 아닐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