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석(5)
변형근, 홍기민, 이주환, 소준영, 양준명
도장에 오면 짧은시간 몸을 풉니다.
우리 동작은 전신의 힘을 극대화 해야하기에 몸푸는데 많은 신경을 써야 합니다.
주춤서 몸통지르기로 수련을 시작합니다.
홍사범의 무심한듯한 강한 주먹지르기가 인상적이였습니다.
몸의 힘을 빼고 낮은 자세에서 오는 강하고 날카로운 느낌이 있습니다.
앞굽이 아래막기, 구령과 동시에 뒷다리 고정, 몸을 반전시킵니다. 이때 반전시 몸의 힘이 들어가면 안됩니다. 반전되면서 몸이 꼬여 풀어질때 최대 속도가 납니다. 이때 힘의 원리는 태극이 그려집니다.
얼굴막기, 진각에 합을 맞춰 힘의 응집을 최대화 해야합니다.
거들어막기, 특히 거들어 막기에서 질러지는 주먹을 돌리는 경향이 많습니다. 쭉 뻗는 느낌으로 직선적으로 질러야합니다. 어짜피 몸의 구조가 원을 만들수 밖에 없으니 직선이니, 곡선이니는 의미가 없습니다. 좀더 순간적으로 빠르고 공격적이게 해야합니다.
홍사범의 질러지고 맺혀 지는 느낌이 간결하니 좋습니다.
뒷굽이 동작도 마찬가지로 동작시 굳히 원으 모양을 만들지 말아야합니다. 몸자체가 축이 만들어지면서 원심력을 만들어 냅니다. 어떤 움직임이 좀더 섬쾌가 되는지 생각하면서 수련해야 겠습니다.
응용동작은 실질적이며, 짧은 동작이기때문에 약간 빠르게 진행했습니다.
구령의 동작을 못맞춘다면, 동작을 좀 작게해서 속도를 맞추길 바랍니다.
발차기는 뒤후리기를 추가했습니다.
보통의 태권도에서 많이 하는 턴차기, 뒤후리기가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하는 발차기인데 안하다 보니 안되는 경향이 많아 시도 해봤습니다.
품새는 전과 같이 했습니다.
만련시 자신의 몸의 느낌을 느끼며 수련해야합니다.
자세를 낮추는게 관건인데 자세를 낮추는데는 각 관절들이 역활이 균형을 이뤄야 합니다.
자세를 낮추는데 무릎이 아팠다..., 그럼 다른 관절들이 역활을 하지 않은 겁니다.
발목, 무릎, 고관절, 허리..., 각각의 역활을, 또는 힘을 분산시킬줄 알아야 합니다.
주춤서 15분은 다리를 약간 더 넓게 하더라도, 무릎을 90도에 가깝에 하도록해야 시간이 가면 갈수록 낮아집니다.
시간이 갈수록 자세가 높아지는건 자세를 만들지 않고 힘만으로 유지하다보니 끝으로 갈수록 높아 지는 현상입니다.
수련 마치고 치맥후 귀가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