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석 (2)
홍기민, 소준영
금일 8시 45분 쯤 도착하니 준영이가 먼저 도착해서 청소를 하고 있었습니다.
천장 공사후 비가 와도 누수가 거의 없습니다. 매트를 들어내면 물기가 좀 있고 못던지기쪽 벽 쪽에 속에서 부터 흘러나온 물이 일부 샌 곳이 있었지만 비가 꽤 많이 왔음에도 제법 쾌적했습니다.
저는 회복이 더디긴 하지만 그래도 제법 호전이 되어 지난주에 이어 오늘도 수련에 참여 하였습니다.
최대한 강도를 낮춰 살살 했습니다.
최근 안 본 사이에 준영이가 많이 늘었습니다. 하나 하나의 동작이 명확해야 하는데 그 부분이 개선이 되니 전반적인 동작이 개선 되는 듯 했습니다.
수련은 평소처럼 주춤서 몸통지르기로 시작해서, 기본동작, 응용동작, 발차기, 품새, 무기술의 순서로 하였습니다.
저는 발차기는 무릎 차기 까지만 했습니다.
몸에 무리가 가지 않는 자연스러운 궤적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 봤습니다.
준영이가 동일하게 축적 된 에너지에서 더 높은 에너지를 만들기 위해 몸통 회전 편차의 간격을 줄이려 하면서 어깨를 축으로 손등이 보이게 돌어가는게 좀 더 빠른 시점에 이루어 진다고 해서 충분히 조여지지 않아서 그렇다고 하였습니다.
급하게 생각치 말고 천천히 충분하게 조여질 만큼의 회전 반경을 만들 수 있는 상태를 천천히 만들어 가면 되고 생각을 했고 방법을 알았으니 수련한 만큼 만들어져 나가게 될 것이라 이야기 하였습니다.
거들어 막기와 안팔목 막기시 앞손을 당길 때 복싱의 패링(상대의 검이나 팔을 걷어내는 동작) 같은 추임새와 더 나아가 걸리거나 잡을 수 있을 때 당겨서 만들어 내는 동작에 대해 이야기 했습니다.
발차기는 고관절 상태 때문에 힘 있게 보여주지는 못했지만, 무릎을 먼저 앞으로 들어 순간 틀어 횡으로 전환 하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무릎을 미리부터 횡으로 각도를 만들어 차는 방법도 있지만, 원칙은 발 뒷꿈치를 엉덩이에 붙이고 무릎을 앞으로 높이 드는 것입니다. 나머지는 상황에 따라 응용하면 됩니다.
이렇게 해야 발차기를 할 때 골반과 몸통의 회전각도의 차이가 벌어졌다가 좁혀지면서 발생하는 회전 편차에서 발생하는 운동에너지를 활용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고, 회수도 익힐 수 있습니다.
무릎을 들 때는 발을 튕기듯이 올리면 수월하고, 이 것은 줄넘기 쌩쌩이가 도움이 된다고 이야기 해주었습니다.
무기술은 봉으로 1식과 3식을 하였습니다. 3식에서 좌우 날개 후 전진을 하기 전의 동작이 자연스럽지 않았습니다.
주춤서기는 5분을 낮게 하고 수련을 마무리 했습니다.